Tom Ward
2017년 5월 13일
요약
21 세기 노스트라 다무스인 빌 게이츠 (Nostradamus Bill Gates)의, 세계 문제, 사회 변화 그리고 기술 진보에 관한 예측이 옳았다는 것은 전에도 여러 번 증명되었습니다. 향후 20 년 동안 그는 무슨 일이 일어날 거라 생각하고 있을까?

빌 게이츠 (Bill Gates), 그의 과거 예측을 보면, 그는 거의 선지자였다: 1999년 그의 예측 목록은 잊을 수 없을 만큼 정확했다. 가격 비교 웹 사이트,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그리고 봇 (bot)의 출현을 예측했다. 지난 몇 년 간의 인터뷰와 연례 서신에서도, 그는 예측을 멈추지 않았다: 여기에 그의 통찰 중 7 가지를 선정했다.
1. 다음 15 년 안에, 3천3 백만 명의 사람들이 병원균에 의해 1 년 안에 나가 떨어질 것이다.
게이츠는 뮌헨 안보 회의에서 "역학자들이 빠르게 전염되는 병원균이 1 년 이내에 3 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죽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라고 경고했다. 이것은 돌연변이, 사고 또는 테러리스트의 의도 때문일 수 있다. 이것은 기이하게 보일 수 있지만, 비슷한 사건이 전에 발생한 적이 있다: 가장 명백한 사례가 유럽의 1/3이 사망한 흑사병(the Black Death)이지만, 최근에는 1918년 스페인의 독감으로 50 천만에서 1억 명이 이 병에 휩쓸렸다.
2. 아프리카 전체가 식품 생산 측면에서 자급 자족하게 될 것이다.
그는 아프리카가 여러 가지 구조적 변화로 인해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첫째 변화는, 더 나아진 비료와 작물이 개발되어 토지의 영양이 향상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둘째, Ghana가 생산 지역을 유통 지역으로 연결하는 고속도로의 넓이를 늘리고 Senegal이 지연을 유발하는 검문소를 제거하는 것 같이 인프라 개발이 이미 진행 중에 있다.
셋째, 전화가 더 널리 보급됨에 따라, 날씨 정보와 시장 가격과 같은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3. 가난한 사람들의 삶은 모바일 뱅킹에 의해 변형될 것이다.
전자 금융 시스템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은 돈을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게이츠는 2015년 연례 서한에서 "2030년이 되면 은행 계좌가 없는 20 억 명의 사람들이 돈을 모으고 휴대폰으로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4. 2035년이 되면, 가난한 나라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게이츠는, 변화할 수 있는 잠재력이 얼마나 많은 지에 대한 선례로서, 자신의 일생 동안 세상이 얼마나 변화했는지 - 소비에트 연방, 서방 연합국, 그리고 오늘날 우리가 보는 세계에 있는 "그 밖의 모든 국가"로 분열된 세계로부터의 이동 - 에 대해 말했다. 그는 2014년 서신에서, "원조는 환상적인 투자이며 우리는 더 많은 일을해야 한다. 그것은 장기간의 경제적 진보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면서, 삶을 매우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향상시킨다" 라고 썼다.
5. 2030년까지, 우리 세상을 혁신할 청정에너지가 흘러나올 것이다.
2016년에 말한, 좀 더 최근의 예측에서 게이츠는, 기존의 재생 에너지 방식을 만병 통치약으로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그 열쇠가 되는 것이 젊은이들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그는 이미 대체 기술에 20억 달러를 투자했다.
6. 셀 수 없이 많은 일자리가 자동화로 없어질 것이다.
Quartz와의 인터뷰에서 게이츠는, 많은 산업 리더들이 그렇듯이, 인간이 로봇에 의해 업무에서 제외되는 세상을 상상한다. 그렇지만 게이츠는 가능한 조치 계획을 제시했다: 노인을 돌보거나 어린이들과 함께 일하는 것과 같이, 인간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는 더 많은 일자리를 지원하기 위해, 로봇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7. 2019년까지 소아마비는 전 세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2013년 연례 편지에서, 게이츠는, 소아마비 발병률이 수백 개국에 사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에서 부터 현재는 오직 전 세계에서 3개국에서만 활동하고 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그가 말한 핵심은 측정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효과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덧글
제가 쓴 글입니다만 이런 새로운 위협에도 기술과 사회가 대응할 수 있을까요?
그러나 제가 생각하는 새로운 위협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혹은 누구나 간과하는 부분에서의 사건들이 더 큰 위협이 되진 않을가요?
현재의 환경 오염이 지속되어, 세상의 식량 값이 천정 부지로 올라간다면, 식탁 위 식량 자급률이 낮은 국가는 타 국가 의존도가 커지겠죠. 식량 자급률은 서서히 줄어들어, 막상 파악이 됐을 때는 빠른 시간 내에 복구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러니 이런 위협이 더 무서운 것이겠죠.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빌딩들을 도시에 짓는다는 구상은 어떻게 되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여념이 없나 봅니다.
결국 농업은 저렇게 되리라 봅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공장형 농업은 환경파괴라 나쁘다고 나불대는 사람들이
있는데 정작 자연을 지키는 효율적인 농법은 농지를 최소화하는 저런 공장형 농업입니다.